투자

연금저축과 IRP는 꼭 필요한 것인가?

캡틴i아메리카노 2022. 9. 22. 18:56

이 블로그에 들어오신 분들께서는 아마 저축이나 적금보다는 주식이나 부동산 등 투자에 더 관심이 많으신 분들 일 것이다. 그런 분들 에게는 연금저축, IRP도 아주 좋은 투자대상이 될 수 있다.

연금저축, IRP의 가장 큰 장점은 연말정산 시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인데 세금을 내시고 연말정산을 하시는 분이라면 누구라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종합소득 5500만 원 이상이라면 16.5%, 5500만 원 이하라면 13.2%의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도는 연금저축 400만 원 한도, IRP 300만 원 한도까지 가능하다. (50세 이하)

내가 생각하는 연금저축, IRP의 장점은 크게 3가지다.
1. 자동적으로 장기투자를 하게 된다.
2. 개별주식을 투자할 수 없어서 자동적으로 분산투자를 하게 된다.
3. 기본으로 13.2~16.5%의 수익률을 깔고 간다.

위 장점들을 하나씩 설명해보겠다.

1. 자동적으로 장기투자를 하게 된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장기투자를 하고 싶어 하지만 실제로는 장기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소수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장기투자를 하다가도 각자만의 사정이 생기거나 변수가 등장해서 그 돈을 현금화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연금저축, IRP를 하게 되면 중도해지 시 세제혜택 받았던 돈을 다 토해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섣불리 해지하지 못하고 자동적으로 장기투자를 할 수 있다.

2. 개별주식을 투자할 수 없어서 자동적으로 분산투자를 하게 된다.

사람들은 보통 개별주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솔직히 나도 개별주식에만 투자를 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개별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많은 공부와 리서치를 필요로 한다. 공부를 하지 않고 투자를 한다면 그건 도박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라 생각한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일반적인 사람들이 종목별로 모두 공부를 하며 투자를 한다는 것은 힘든 일이고 그럴 여유가 없는 사람들도 많다. 그래서 최근에는 ETF 투자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 ETF 투자를 연금저축, IRP를 하면 세제혜택도 받으면서 투자할 수 있다. 1석2조 아닌가.

3. 기본으로 13.2~16.5%의 수익률을 깔고 간다.

13.2~16.5%의 세제혜택을 뒤집어서 생각해보면 100% 보장된 수익률로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정도의 수익률을 100% 보장해주는 투자상품이 있는지 곰곰이 생각해본다면 엄청난 혜택이다.

이런 부분까지 생각한다면 연금저축, IRP의 선택은 필수라고 볼 수 있다.

결론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연금저축, IRP는 꼭 가입해서 혜택을 챙기자

다음 장에서는 연금저축, IRP의 단점과 그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